▶ 임시 인플레 수수료 2달러
▶ 건강관리 수수료 3달러 등 ‘슈링크플레이션’과 유사
“이젠 식당에서도 수수료를 받는 건가?”
지난 4월 중순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에 사는 리지 스티븐슨은 ‘로마노의 마카로니 그릴’이라는 식당에서 저녁을 마치고 계산서를 받았을 때 어리둥절했다. ‘임시 인플레이션 수수료’라는 명목의 금액이 적혀 있어서다. 그는 지갑 대신 스마트폰을 꺼내 ‘임시 인플레이션 수수료’가 무엇인지를 검색해야 했다.
수수료는 2달러에 불과했지만, 안 그래도 물가 상승에 짜증이 난 그에게 수수료는 ‘불난 집에 부채질’을 한 셈이었다. 그의 집주인이 바로 한 달 전 월 임대료를 150달러 올렸고, 그는 소득을 조금이라도 늘릴 요량으로 파트타임 임시직을 막 구한 상황이었다.
이 식당은 홈페이지에서 이 수수료와 관련해 “거시경제적 압박을 상쇄하기 위해 일시적인 2달러 수수료를 추가할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식당들이 고공행진하는 물가에 대처하기 위해 메뉴 가격을 올리지 않고 대신 이같이 새로운 수수료를 추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의 식당 체인 ‘록 엘름 태번’은 고객들에게 ‘건강관리 수수료’ 명목으로 음식값의 3%를 부과하고 있다.
이 체인점은 코로나19 대확산(팬데믹)이 시작하기 전에 주당 25시간 이상 일하는 직원들에게 건강보험료를 주려고 이 수수료를 도입했다.
하지만 현재는 물가 상승에 대응하고 일손이 부족한 고용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발전했다고 록 엘름 태번 운영자는 설명했다. 보스턴의 해산물 식당 ‘솔티 걸’은 팬데믹 초기 ‘주방 감사 수수료’를 추가했다. 직원들이 일터로 복귀하도록 종용하기 위해서였다. 이 수수료를 받아 직원 1인에게 시간당 5달러를 더 주고 있다.
판매정보시스템(POS·포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라이트스피드’가 자사 고객 식당 6,00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4월에서 올 4월 사이 서비스 수수료를 추가한 식당이 36.4% 늘었다.
이런 관행은 과자 업체들이 제품 가격은 그대로 두고 제품의 무게, 수량, 크기 등을 줄여 사실상 가격을 올리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과 유사하다고 WSJ은 전했다. 특히 고객들이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이런 수수료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점주 입장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