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니언
 >오피니언         
        무기 사찰단을 조건 없이 받아들이겠다고 한 바그다드의 제안은 평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분열시키고 대량 살상 무기 …
[2002-09-18]연방 의회에 진출하려는 민주당 후보의 한 사람으로 외교 및 안보 문제에 관해 민주당이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을 유감으로 생각한다. 북부 시카고 지역 유권자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나는…
[2002-09-18]부시 행정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잘 싸우고 재건에는 실패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똑같은 짓을 이라크에서도 한다면 차라리 전쟁을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아프간에서는 우리를 …
[2002-09-17]맥도널드가 저지방 프렌치 프라이를 만들기로 했다는 뉴스를 공중보건의 승리로 보아야 할지 어쩔지 말하기가 어렵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연방 공무원들이 버터를 하나의 식품군으로 분…
[2002-09-17]장애인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로 ‘백치 아다다’가 있다. 계용묵씨가 1935년 발표한 소설이다. 아다다는 마음이 그지없이 착한 여성이었지만 부모, 남편등 모든 사람에게서 천덕꾸러기…
[2002-09-17]1년반 전 이사를 하는데 이삿짐 센터에서 히스패닉 일꾼 두 명이 왔다. 그런데 그들은 내가 한국인 것을 알고 내 얼굴을 힐끗힐끗 쳐다보며 “빨리 빨리”라고 장난기 섞인 말을 하지…
[2002-09-14]부시 대통령은 이라크와의 전쟁 준비를 하면서 최악의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부시는 후세인을 ‘악’으로 규정하고 그에게 우리를 위협할 화생방 무기가…
[2002-09-13]9.11 공격사건이 터지자 미국민들은 후한 자선 성금을 내놓았다. 자선단체에 걷힌 돈은 총 24억달러로 전국민이 가구 당 23달러씩 성금을 낸 것에 해당된다. 반면 자선단체들은 …
[2002-09-13]아프리카를 처음 방문한 나이 든 한국인 친구들의 반응은 대부분 비슷하다. “아프리카도 별로 살기가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내가 자랄 때의 한국을 생각나게 한다”고 말하며 “이삼십…
[2002-09-12]9.11 침공은 미국민들을 비탄과 공포로 몰아 넣었고, 우리 나라를 전쟁으로 몰아갔다. 9.11 테러로 적의 잔인성은 폭로되었고 우리가 직면한 막중한 위협이 명확해졌다. …
[2002-09-12]9.11 이후 국제정치에서 가장 특이한 일은 미국이 가장 강력하면서도 가장 외로운 존재가 됐다는 점이다. 테러사건 이후 세계는 미국과 미국인들에게 지원과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
[2002-09-12]1년이 지난 지금 미국은 국가적 정체성과 자부심이 그 어느 때보다 확실한 것 같다. 그 과정에서 ‘우리’ 의식이 강해지면서 불가피하게 같이 강해진 것이 ‘그들’에 대한 구분이다.…
[2002-09-12]9·11 사태의 전모가 밝혀지면서 사람들의 첫 반응은 경악이었다. 어떻게 그런 끔찍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지, 그걸 보고 길거리에 나와 춤추고 즐거워 할 수 있는 지 미국과 …
[2002-09-11]에이브러험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문이 뉴욕 주지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9·11 사건 1주년 기념식에서 낭독된다고 한다. 이 시적인 정치 연설문을 읽는 것을 반드시…
[2002-09-11]9.11 테러 1주년을 맞아 300여권의 관련 서적이 나왔다. 한 사건을 두고 이렇게 많은 책이 발간된 적은 없다. 한줌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심장부를 강타당한 미국 역사상 가장 …
[2002-09-10]부시 행정부가 이라크 공격과 관련해 의회와 우방국과 상의하기로 한 것은 잘한 일이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유엔이나 의회 증언 등으로 해결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미 행정…
[2002-09-10]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한국의 산하는 폐허가 됐다. 200여명의 인명이 희생된 참사다. 지난 70년대 조국에서 살았던 교민들이라면 사라호 태풍의 처참한 피해를 기억할 것이다. 이번…
[2002-09-10]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가 미국의 이라크 공격이 엄청난 잘못이 될 것이라며 동참을 거부한 것이 국내 선거를 겨냥한 점도 있지만 유럽에 퍼져 있는 우려를 반영했다고 보아야 한다…
[2002-09-07]사담을 칠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월남전 참전 용사 가운데 ‘전쟁을 해 보지 않은 사람은 전쟁에 관해 논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장군들이 전…
[2002-09-06]9.11 테러와 관련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교사들이 고민 중이라는 기사가 나왔었다. 어려운 문제이다. 나라면 다음의 3가지를 가르치겠다. 첫째, 그들은 누구인가…
[2002-09-05] 
        
    























 
  
  조지 F· 윌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조지 F· 윌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유경재 나성북부교회 담임목사
유경재 나성북부교회 담임목사  이희숙 시인·수필가
이희숙 시인·수필가  최호근 / 고려대 사학과 교수
최호근 / 고려대 사학과 교수  민병권 / 서울경제 논설위원
민병권 / 서울경제 논설위원 전 한인민주당협회 회장
전 한인민주당협회 회장  정영록 서울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
정영록 서울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 
11월4일 치러지는 뉴저지주지사 본선거가 막판까지 초박빙 접전을 보이면서 최종 승자를 예측하기 어려운 안갯속 판세가 펼쳐지고 있다.30일 발표…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가 닷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아비가일 스팬버거(Abigail Spanberger) 후보가 30일 애난데일을 찾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본회의에 불참하고 조기 귀국한 데 대해 미국 언론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