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필리핀 국방 회담, 필리핀군 지원 조치… “남중국해서 억지력 재확립”
▶ 캄보디아와는 2017년 중단한 합동훈련 재개 합의

U.S. Secretary of Defense Pete Hegseth, right, confers with Philippine’s Defense Secretary Gilbert Teodoro during a ministerial lunch at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Defense Ministers’ Meeting in Kuala Lumpur, Malaysia, Saturday, Nov. 1, 2025. REUTERS
미군이 남중국해에서 중국에 맞선 필리핀을 지원하기 위해 '필리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
1일 로이터 통신, 미 해군연구소(USNI) 뉴스 등에 따르면 전날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전쟁부) 장관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확대 국방장관 회의(ADMM-Plus) 참석차 방문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길베르토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부 장관과 회담하고 이같이 밝혔다.
헤그세스 장관은 "오늘 여러분과 함께 필리핀 태스크포스를 공식 발표한다. 이는 우리 협력의 또 다른 단계가 될 것"이라면서 "(양국 간)상호운용성, 훈련, 비상사태 대비 태세를 강화해 남중국해에서 위기나 침략에 단호하게 대응하고 억지력을 재확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미군은 성명에서 필리핀 TF가 1성 장군 또는 장성급 장교가 이끄는 약 6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양국 공조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전·훈련 실행을 개선하며, 인도적 지원과 재난 대응 준비를 강화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필리핀 TF는 새로운 전투 병력 파견이나 공격 작전, 일방적인 배치 또는 영구적인 군사 기지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미군은 그간 필리핀 현지에서 'TF 아융인(남중국해 세컨드 토머스 암초의 필리핀명)'을 운영, 해상 경계 정보와 수상 드론(무인수상정·USV) 운용 훈련 등을 제공하며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의 군사 작전을 지원해왔다.
따라서 이번 발표는 TF 아융인을 확대 개편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 장관은 또 향후 2년간 양국 방위 협력 관계를 현대화하고 주요 방위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한 '동맹 준비 행동 계획'을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회담에서 양국이 "남중국해, 특히 최근 스카버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에서 중국의 강압 행위에 대해 우려를 공유한다"고 밝혔다.
또 엑스(X·옛 트위터)에서 "우리는 남중국해에서 억지력을 재확립하고 동맹을 발전시키기 위해 끈질기게 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오도로 장관은 "중국은 국제법과 일련의 규칙을 어떠한 교묘한 해석 없이 준수할 의지가 있음을 입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지난 9월 일방적으로 스카버러 암초 일대를 자연보호구역으로 설정하고 이곳에 접근하는 필리핀 선박에 물대포 공격을 가하는 등 긴장 수위를 높여왔다.
테오도로 장관은 또 내년에 양국 병력이 상대국을 방문해 군사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문군 지위협정(Status of Visiting Forces Agreement) 협상을 프랑스와 타결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미군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최근 남중국해에서 중국에 맞서 무력 과시를 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미 CBS뉴스가 전했다.
미군은 남중국해 분쟁 해역 일대에서 중국의 적대 행위가 고조됨에 따라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등 정밀 타격 시범을 실시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소식통들에 따르면 이 작전이 하나의 선택 사항으로 준비됐지만 실제 실행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헤그세스 장관은 또 띠어 세이하 캄보디아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과도 회담하고 양국 합동훈련 '앙코르 센티넬'을 재개하는 데 합의했다.
미국은 2017년 캄보디아 정부가 중국 쪽으로 기울어지는 가운데 캄보디아의 인권 문제·민주주의 후퇴를 비판하면서 훈련을 중단한 바 있다.
이어 두 나라 장관은 중국 해군의 비밀기지라는 의혹에 휩싸였던 캄보디아 남서부 리엄 해군기지를 헤그세스 장관이 방문하는 데 대해서도 논의했다.
리엄 해군기지는 당초 미국의 일부 지원을 받아 건설됐다가 중국에 의해 대대적인 개수 공사를 거쳤다. 이에 미국은 중국이 이곳을 동아프리카 지부티에 이어 제2의 해외 해군기지로 만들려고 한다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다만 캄보디아 정부는 지난 4월 리엄 기지를 정식 개장하면서 첫 외국 손님으로 일본 해상자위대 함정을 맞았으며, 미국 등에도 개방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도 캐시 파텔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과 전화 통화하고 양국 수사 당국이 사이버 사기, 인신매매, 금융범죄 등에 맞서 협력을 증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시아 순방 중인 헤그세스 장관은 전날 인도와 '10년 국방 기본협정'을, 말레이시아와 방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각각 맺는 등 파트너 국가들과 협력 강화를 통해 중국 견제망을 다지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