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원서 좌파 야당 견제 의석 넉넉히 확보 전망…상원 내 영향력도 강화
▶ “與 지면 지원 어렵다” 트럼프 언급이 표심에 영향…밀레이 “개혁 계속된다”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임기 후반 국정 운영 향배를 결정할 아르헨티나 중간선거에서 우파 집권당이 좌파 야당에 압승을 거뒀다는 잠정 개표 결과가 나왔다.
아르헨티나 정부의 기예르모 프랑코스 수석장관(총리급)은 26일(현지시간) 오후 9시 20분께 기자 회견을 열어 "오늘 상·하원 선거에서 90%가량 개표한 상황에서 자유전진당이 40.85%, 페론주의(후안 도밍고 페론 전 대통령을 계승한 좌파 포퓰리즘 성향 정치 이념) 야당이 24.85%를 각각 득표한 것으로 잠정적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상원의원 24명(전체 72명의 ⅓)과 하원의원 127명(전체 257명 중 약 절반)을 선출하는데, TV토도노티시아스와 일간 라나시온 등 현지 언론 보도를 보면 하원의 경우 127석 중 여당 동맹이 64석, 페론주의 야당이 44석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확한 의석 배분은 공식 개표 종료 후 나오게 되지만, 집권당 동맹(범여권)은 이번 하원 선거 대상이 아니었던 나머지 130석 중 이미 확보한 의석을 합쳐 '최소 ⅓ 이상'(86석)이라는 1차 목표를 충분히 달성한 것으로 관측된다. 하원 86석은 야권 단독 입법을 견제하고 정부 입법안에 대한 야당의 부결 시도를 막을 수 있는 저지선이다.
전체 257명 중 범여권 규모는 집권당 81명을 포함해 110명 안팎으로 예상된다. 기존에는 80명 선이었다.
페론주의 야당의 경우 99명으로, 단일 정당 기준으로는 여전히 원내 1당 지위는 유지하게 될 것으로 보이지만, 양원 내 영향력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상원에서도 여당이 과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주요 개혁안 협상 과정에서 목소리를 더 높일 수 있게 됐다고 TV토도노티시아스는 전했다.
밀레이 대통령은 이날 밤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여당 선거대책본부(리베르타드 호텔)에서 중간선거 승리에 대해 "쇠퇴 대신 돌이킬 수 없는 변화와 개혁을 추구해야 한다는 국가적 사명을 재확인한 것"이라면서 "오늘 우리는 전환점을 넘었으며, 2023년 (정부 출범 후) 국민 여러분께서 저를 재신임해 주셨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개혁을 멈출 수 없으며 멈추지도 않을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정부와 여당이 중도 성향 군소정당 소속 상·하원 의원들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지 언론들이 "예상치 못한, 놀라운 여당의 압승"이라는 반응을 나타낸 이번 중간선거와 관련, 현지 유권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마디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남미 내 '핵심 우군'으로 꼽히는 밀레이 대통령에 대한 전폭적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 아르헨티나 경제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최대 400억 달러(57조6천억원 상당) 규모의 관대한 경제 지원 조건으로 '여당 승리'를 내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밀레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금융·재정 지원과 관련, "선거에 패배하면 아르헨티나를 돕기 어렵다"는 '외국 정치 개입성' 언급을 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밀레이 대통령에겐 이번 선거가 2023년 12월 취임 후 거의 2년 만에 맞닥뜨린 가장 까다로운 시험대로 여겨질 것이라는 외신 분석이 많았다.
정책 추진 방향과 정치적 스타일이 트럼프 대통령과 닮아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라는 별명을 가진 밀레이 대통령은 2023년 12월 취임 직후 '전기톱 개혁'으로 일컬어지는 공격적인 긴축 정책을 통해 아르헨티나 물가 지수를 대폭 낮추는 성과를 거뒀다.
다만, 이 과정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장치 없는 일방통행식 정책 추진과 측근들의 부패 의혹으로 곤욕을 치렀고, 지난 달 아르헨티나 전체 인구의 약 40%가 거주하는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중간선거 여당 승리로 밀레이 대통령은 4년 임기 중 남은 2년여 간의 국정 운영 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르헨티나 여론조사기관 '수반 코르도바'의 구스타보 코르도바 대표는 로이터통신에 "충격적인 이번 선거는 과거 정부에서 유발한 경제 위기가 다시 닥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국민적 경계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밀레이) 정부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주려 한 것"이라고 피력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미쿡이 40조를 알젠틴한테.지원한단다....ㅋㅋㅋㅋ..곧 미쿡도 알젠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