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폼페이오, 배후로 이란 지목하며 “모든 국가에 이란 공격 규탄 촉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4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주요 석유시설과 유전이 무인기 공격을 받은 것과 관련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통화를 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은 "오늘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 왕세자와 전화통화를 하고 사우디의 자위권에 대한 그의 지지를 표명했다"면서 "미국은 중대한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강력 규탄한다"는 입장을 냈다.
백악관은 이어 "국제경제에 필수적인 인프라와 민간영역에 대한 폭력적 행위는 갈등과 불신을 심화시킬 뿐"이라며 미국 정부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국제 원유시장의 안정 보장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이날 트윗을 통해 이란을 공격 배후로 지목하며 "우리는 모든 국가에 공개적으로, 그리고 명백하게 이란의 공격의 규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은 에너지 시장에 대한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보장하고 이란이 공격에 책임을 지도록 보장하기 위해 우리의 파트너 및 동맹과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란은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모하마드 자리프 외무장관이 외교에 관여하는 척 하는 동안 사우디에 대한 약 100차례의 공격 배후에 있었다"면서 "이란은 세계의 에너지 공급에 대한 전례없는 공격을 저질렀으며 공격이 예멘에서 비롯됐다는 증거가 없다"고 비난했다.
사우디 국영 통신사인 SPA도 빈 살만 왕세자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면서 "사우디는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대처하고 맞설 수 있고, 기꺼이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 내무부는 이날 동부 담맘 부근 아브카이크 탈황 석유시설과 쿠라이스 유전 등 2곳이 무인기의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브카이크 탈황시설은 아람코가 관련 시설 중 세계 최대 규모라 홍보하는 곳이다.
예멘 반군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알마시라 방송을 통해 "사우디의 불법 침략에 대응해 그들의 석유 시설 2곳을 무인기 10대로 직접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며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는 한편 "공격 대상을 더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Crude up 15% Brent up 19% as of 9/15/2019 15:00 UWT up 45%. DWT down 45%
9/11 주범들이 모두 사우디였고 수니의 ISIS를 뒤에서 비밀리에 밀어준게 또한 사우디인데 미국의 이익이 눈 앞에 있으면 언제든지 손을 잡을수 있군요. 이제 Scapegoat를 만들어서 손 좀 봐야할때가 온거 같네요. 콘도를 팔려면 아부를 좀 해야지...
기름값 올라가겠군요, 국제적인 서로서로 협력보다 협박으로라도 남을 짖 밟으려한다는 느낌을 받으면 굼벵이도 꿈틀한다고 여기저기서 이런일이 일어나기 마련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