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리안 투표 예상 깨고 10%p차 부결
▶ 기업 · 자금 이탈 등 혼란 우려 표심 변화, 영국정부 안도 불구 자치권 확대 부담
스코틀랜드의 분리독립 주민투표에서 유권자들은 미래가 불투명한‘307년만의 독립’ 대신 영국 연방잔류를 통한 경제안정을 선택했다.
유권자들이 변화보다는 안정, 민족적·지역적 감정보다는 경제손익계산을 바탕으로 실리적 판단을 내림에 따라 영국은 국토 면적의 3분의 1, 국민의 10% 가까이를 잃는‘재앙’을 모면하게 됐으며 국제 금융시장과 세계 경제도 후폭풍을 피할 수 있게 됐다.
18일 실시된 선거에서 승패를 가른‘키워드’는 경제였다.
분리독립안이 통과될 경우 기업이전과 자금 이탈, 유럽연합(EU) 재가입 문제 등에 따른 경제혼란의쓰나미가 불가피하다는 상황 인식이 반대표를 결집시키며 투표전 막판의 팽팽한 균형을 깨뜨렸다.
영연방에서 떨어져 나가면 파운드화 공유가 불가능하다는 영국 정부의 위협도 스코틀랜드 유권자들이 독립 대신 안정을 택하도록 만드는데 일조했다. 여기에 독립 때 물가 상승과 불황이 닥칠 것이라는전망까지 이어져 변화보다는 안정론에 힘이 실렸다.
경제문제 외에도 국방, 사법, 외교등 분야에서 풀어야 할 난제가 많아 2016년 3월까지 독립국으로 자립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현실론의 장벽도 높았다.
그렇다면 이번 주민투표의 확실한 승자는 누구일까.
언뜻 보면 데이빗 캐머런 영국 총리일 법하지만 그렇지만도 않다.
분리독립안이 부결됨에 따라 영국 정부는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국가 기반을 송두리째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투표 패배에 대비한 비상계획조차 마련하지 않은 채 빈손으로 나섰다는 여론의 거센 비난에 캐머런총리는 무방비로 노출된 상태다.
게다가 이미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는 스코틀랜드가 조세권과 예산권까지 확보하게 돼 연방 체제의 결속력이 급속히 약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캐머런 내각에겐 부담스럽다.
동시에 웨일스와 북아일랜드는물론 콘월, 컴브리아 등 지역에서까지 분리독립 요구가 분출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반면 상당한 자치권 확대를 약속받은 스코틀랜드 자치정부는 투표패배에도 불구하고‘절반의 승리’를챙긴 것으로 평가되지만 투표과정에서 독립파와 반대파로 나뉘어 대립한 민심을 수습하고, 영연방의 일원으로서 새로운 화합을 모색해야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안게 됐다.
<김영경 객원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