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적완화 축소·현찰 여유·경기회복 3박자
▶ 13일 하루 200억달러
연초부터 전세계 인수합병(M&A)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기업들의 막대한 현금 보유액, 세계경기 회복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외신들에 따르면 13일 하루에만도 5건, 총 200억달러 규모의 굵직한 M&A가 성사됐다.
일본의 주류·음료 업체인 산토리 홀딩스는 13일 미국 대형 위스키 업체 빔을 160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주류업계 M&A 역사상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이를 통해 산토리는 미국 주류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구글도 홈네트웍 벤처기업인 네스트랩스를 32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구글이 실시한 M&A 중 지난 2010년 모토로라 인수(125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페이스북은 인터넷상에 토론의 장을 제공하는 브랜치와 포틀럭 등 2개 회사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외신에서는 1,500만달러 규모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최대 국유 식품회사 코프코도 네덜란드 거대 곡물거래상인 니데라의 소수지분에 2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고 월스트릿 저널(WSJ)이 전했다. 연초부터 글로벌 M&A 시장이 호황을 보이는 것은 연준의 테이퍼링으로 금리가 상승하기 전에 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해 사업분야를 확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경기전망이 밝은 것도 기업들의 M&A 의욕을 북돋우고 있다.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해 11월 현재 34개 회원국의 종합 경기선행지수(CLI)가 100.9로 2년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 기업들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투자를 꺼려 수중에 막대한 실탄이 있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기업들의 현금 보유액은 4조4,000억달러에 달한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올해 M&A 활황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메릴린치의 잭 맥도널드 미국 M&A 부문장은 “지난해 M&A 거래를 위한 조건은 좋았으나 미국의 부채한도 증액 및 연방 정부 셧다운(정부 폐쇄) 우려, 유럽 경기회복에 대한 불확실성 등 리스크가 있어 거래가 많이 성사되지 못했다”며 “하지만 올해는 이런 불안감이 사라져 M&A 시장이 호황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포브스는 주식시장 랠리로 인수대금이 올랐고 최근 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점이 올 M&A 시장 호황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2월에도 대형 M&A가 잇따라 성사되며 기대치가 높아졌지만 결국 큰 호황은 없었다”며 “M&A는 최고경영자(CEO)들의 심리게임이므로 낙관하기는 이르다”고 지적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