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1B수수료 100배 폭탄에 혼란
▶ “비자 받았는데 취업취소될까” 불안, “기존 소지자·갱신시엔 적용안돼”, 가이드라인 애매모호 당분간 혼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1일부터 전문직 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 수수료를 1인당 10만달러로 올리자 한국인 대상자들 사이에서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19일 백악관에서 그간 1인당 1,000달러였던 H-1B 비자 수수료를 100배인 10만달러로 대폭 증액, 21일부터 이를 시행하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한 이후[본보 9월22일자 A 1면]기존 비자 소지자나 갱신 신청자에게는 새 방침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뒤늦게 알려졌으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애매모호한 탓에 당분간 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백악관은 20일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포고문과 관련, “포고문은 국토안보부 장관으로 하여금 현재 미국 밖에 있는 외국인이 비자를 신청할 때 수수료가 동반되지 않을 경우 비자 승인을 제한하도록 지시하며, 국가 이익에 부합하는 경우엔 개별 사례별로 예외를 허용한다”고 설명했다.
10월부터 뉴욕 한 회계법인에서 근무를 시작하는 A씨는 22일 “이미 추첨을 통해 H-1B 비자를 받은 상태지만 비자 발효가 다음 달 1일부터라 채용이 취소될까 봐 밤에 잠을 못 잘 정도로 걱정이 컸다”며 “(새 방침이) 다음 추첨부터 적용된다는 소식을 듣고서야 안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A씨의 회사는 긴급 공지를 통해 H-1B 비자 보유자들에게 추가 공지 때까지 미국 밖으로 출국하지 말라고 안내했다. 또 해외 체류 직원들에게는 20일까지 빠르게 미국으로 들어오라고 권고했다고 한다.
배우자가 한국에서 27일 미국으로 돌아올 예정이라는 한 H-1B 보유자는 “입국에 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된다. 이렇게 생이별하게 되는 것이냐”고 걱정을 쏟아냈다. “지방이라 현지시간 21일 전 미국에 도착할 수 있는 비행기가 없었다”, “하와이로라도 들어갔어야 했던 것이냐”는 반응도 이어졌다.
이번 비자 수수료 인상 조치로 외국인 직원을 많이 고용한 미국 기업들은 해외 체류 중인 H-1B 비자 보유 직원들에게 급거 귀국을 지시했고 근로자들은 급히 미국으로 돌아와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로이터통신은 21일 유명 영화 ‘분노의 질주’(Fast and Furious)에 빗대 이들의 상황을 전했다.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있던 인도인 몇 명은 새 규정이 시행되면 미국에 돌아올 수 없을 수도 있어 휴가 계획을 단축했다고 전했다.
중국 소셜미디어에도 H-1B 비자 소지자들이 중국이나 다른 국가에 도착하자마자 미국으로 다시 급히 돌아갔다는 경험을 공유했다.
한편 연방국토안보부(DHS)와 이민서비스국(USCIS)이 연방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에 H-1B 비자 청원이 승인된 전문직 근로자 총 39만9,395명의 출생 국가를 따져볼 때 인도가 28만3,397명으로 71.0%를 차지해, 2위인 중국(4만6,680명, 11.7%)보다 훨씬 많았다.
한국 출신은 3,983명(1.0%)으로 출신 국가 순위로는 5위였고, 필리핀(5,248명, 1.3%, 3위), 캐나다(4,222명, 1.1%, 4위)와 비슷했다. 멕시코, 타이완, 파키스탄, 브라질, 나이지리아가 출신 국가 6∼10위였고, 각각 1% 미만이었다.
근로자의 직업으로 보면 ‘컴퓨터 관련’이 63.9%를 차지해 압도적 다수였고, ‘건축·엔지니어링·측량’이 10.2%, ‘교육’이 6.0%, ‘행정적 특화직’이 5.4%, ‘의학·건강’이 4.2%, ‘수학과 물상과학’이 2.8%, ‘생명과학’이 1.9%, ‘관리자와 임원’은 1.7%, ‘기타 전문·기술·관리직’이 1.2%였다. ‘사회과학’은 1% 미만이었다.
▶관련기사 A2면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