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30) 경산의 삽살개
한 살 먹은 청삽살개 ‘마누’가 주인 김다릅(12세)군과 제주도 한라산 눈 위에서 놀고 있다. 통계학적으로 애견하고 함께 자란 아이들은 알러지를 덜 앓고, 애견과 놀 때는 혈압이 내려가며, 또 애견을 경험하는 아이들은 온화한 성격과 사회성, 그리고 자존감이 높다고 한다. 애견을 안아줄 때는 스트레스, 고독감 그리고 불안감이 낮아지며, 애견을 키우는 사람은 의사를 찾는 빈도가 낮다고 한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한 살짜리 청삽살개 ‘마누가 주인 김다릅 군과 제주도 한라산 눈 위에서 놀고 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천연기념물 제368호 경산의 황삽살개 ‘나눔’(가운데)과 청삽살개 ‘가람’(뒤), 그리고 블랙탄 단모 ‘가을’이 경상북도 경산 삽사리재단 운동장에서 뛰어놀고 있다. 외국 견종들은 대부분 사람들이 선호하는 몇가지 성품을 소유한 개를 계통번식을 통해서 품종을 고정한 견종이지만, 우리 토종견 삽살개는 긴 세월 동안 다양한 견종들의 방사환경에서 자연번식해 온 다양한 유전체를 가진 건강하고 훌륭한 역사의 유산이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경상북도 울주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선사시대 다양한 동물 그림 중에는 우리 토종개 모습의 타원흉(길쭉한 가슴)과 배가 올라간 새우등(arched back), 힘차게 올린 꼬리 등 전형적인 우리 토종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도 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태어나서 아직 눈을 뜨지 못하는 천연기념물 제368호 경산의 황삽살개 강아지가 모견 민아의 뒷다리를 베고 자고 있다. 어릴 때 모색은 크면서 옅은 황색으로 변한다. 2010년에 필자가 영어문화권에 알린 삽살개가 2021년에는 평균 신장이 체고(어깨 높이) 수(56-58cm)/암(53-55cm), 몸무게는 수(26-28kg)/암(22-24kg)으로 10여 년 전에 비해 크기가 커졌다. (식생활 변화로 대한민국 젊은이들의 평균신 장이 늘어난 것처럼, 토종개도 따라 변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천연기념물 제368호 경산의 황삽살개 ‘겨례’가 강원도 태백산 천제단을 오르고 있다. 우리 민족이 하늘에 제사를 모시던 천제단은 해발 5,141피트(1,576미터) 정상에 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천연기념물 제368호 경산의 황삽살개 ‘겨례’가 강원도 태백산 천제단을 오르고 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천에서 노는 경산 삽살개 ‘은결’. 털이 긴 삽살개는 역사적으로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경상북도 경산 삽사리 재단에서 천연기념물 제368호 경산의 황삽살개 강아지가 자신 있게 걷고 있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토종개 복원을 평생 연구해온 하지홍 교수와 삽사리 재단의 오문순 이사 부부가 있기에 우리 토종견 삽살개가 존재한다. Photo ⓒ 2020 Hyungwon Kang
아시안아메리칸 사법경찰 자문위원회(대표 유주태)는 지난 11일 퀸즈 플러싱 소재 160BBQ 식당에서 월례회를 열었다. 이날 위원들은 근무 …
정혜선한국전통예술원은 지난 13~14일 양일간 H마트 뉴저지 릿지필드점에서 열린 아시안 음식 문화 페스티발 초청 공연을 가졌다. 이날 예술원…
뉴욕한인봉사센터(KCS) 플러싱한인경로회관 모던댄스팀(단장 이경옥)이 11일 퀸즈 플러싱 유니온 너싱홈을 방문, 위문공연을 펼쳤다. 이날 25…
퀸즈한인회는 지난 12일 뉴욕총영사관과 함께 퀸즈 플러싱 협회 회의실에서 9월 퀸즈 지역 순회영사 서비스를 개최했다. 이날 여권, 국적, 병역…
법륜스님(사진)의 즉문즉설 ‘행복한 대화’ 강연이 오는 26일 뉴저지와 27일 뉴욕에서 각각 열린다. 즉문즉설은 사전질문이나 제한없이 청중…
‘2025 한국일보 오픈 겸 뉴욕한인골프협회 왕중왕 골프대회’가 지난 11일 뉴욕주 스프링밸리 소재 뉴욕 컨트리클럽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한국…
재미이산가족 상봉추진위원회(DFUSA)는 15일 민주당 수하스 수브라마니암(Suhas Subramanyam) 연방 하원의원을 만나 연방 의회에…
꽁꽁 얼어붙었던 가족이민 영주권 문호가 모처럼 풀리면서 이민 대기자들의 숨통을 터줬다.가족이민 문호 모처럼 풀렸다국무부가 최근 발표한 2025…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