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차를 타고 가는데 앞에 가는 차의 번호판을 보니 번호는 없고 Stolen from EdButts라고 쓰여있었다. “에드밧츠로부터 훔쳤다”는 말인데 이게 무슨 소린가? 새로 산 차는 DMV(차량국)으로부터 새 번호판을 받을 때까지는 자동차 딜러의 광고가 붙은 번호판을 달고 다니기 마련인데, 이 것도 그런 것의 하나다. EdButts는 자동차 딜러 이름이고 Stolen from은 “∼로부터 훔쳤다”는 뜻이 아니라 “∼에서 아주 싸게 샀다”는 뜻이다. 도둑맞은 물건 처럼 “아주 싸게 산다” 또는 “ 엄청 싸게 산 물건”이란 뜻으로 미국인들은 steal(쓰티일)을 쓴다. 그러니까 이런 경우의 steal은 bargain(바아갠)과 같은 뜻이다.
한국 유학생과 기숙사 방을 같이 쓰는 미국 학생이 어느 날 새 블루진 바지를 입고 있기에
That’s a nice pair of pants. How much did you pay for them?(그 바지 멋있다. 얼마 주고 샀느냐)고 물었더니 미국 친구가 It’s a steal!(잇츠어 스티일)이라고 말했다. 한국학생은 이 말을 “이거 훔친 것이다”로 오해하고 You are joking, aren’t you?(너 농담하는 거지?)라고 하니까 미국 학생은 No, I’m not. I got these pants for just five bucks!(농담 아니야. 이 바지 단돈 5불 주고 샀어!) They were on clearance sale.(데이 워 온 클리어런스 쎄일―재고정리 쎄일을 하고 있더라구)라고 말했다.
미국에 처음 온 한국 학생이 steal을 글자 그대로 “훔친다”는 뜻으로만 해석했기 때문에 이런 에피소드가 생긴 것이다. pants(패엔츠-바지)는 복수로 취급하기 때문에 “바지 하나”는 a pants가 아니라 a pair of pants(어 페어 롭 패엔츠), “이 바지”도 this pants가 아니라 these pants(디이즈 패엔츠)라고 해야 문법상 정확하다.
A: Hey, that’s a nice car you’re driving! Looks like brand-new.
B: It is.
A: How much did you pay for it?
B: I only paid $25,000. It was a steal! The dealer said I got it under invoice price.
A: 야, 너 멋있는 차 타고 다니는구나! 새 차 같은데.
B: 새 차야.
A: 얼마 주고 샀니?
B: 2만5천불 밖에 안 줬어. 아주 싸게 샀다구! 딜러 말이 인보이스(자동차회사가 딜러한테 보낸 대금 청구서) 가격보다 싸게 사는거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