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스트레스는
너무 당연하고 흔한 이야기입니다.
직장이나 가정, 대인관계 등으로 갈등을 겪으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스트레스 요인들은 언제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적절한 스트레스는 삶의 어려움들을 극복하게 하고,
집중력이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제대로 해소하지 못한다면,
이것이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로 발전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히 위험한 상황이 아닌데도 갑자기 극심한 불안이 느껴지고,
죽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게 됩니다.
또한 식은땀이 흐르거나,
갑자기 몸이 움직여지지 않는 증세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과 접하게 되는 감정 노동자들이나
과도한 업무를 하는 직장인들 가운데
이런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방적인 폭언을 듣는 경우나 사람과의 갈등을 잘 해소하지 못한다면
분노조절 장애나 무기력감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엔 호흡곤란이나
공황발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런 증상이 발생할 경우,
통제가 어려울 정도의 혼란에 빠지기도 합니다.
때로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도 있습니다.
발작이 반복해서 일어난다면,
또 발작이 생길까 봐 걱정하는 '예기불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일시적인 공황발작을 겪었다고 해서
모두 공황장애 진단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건강한 사람들 중에서도 일생 동안 공황발작을 겪는 확률이
약 30% 정도 된다고 합니다.
만약 본인이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다면 치료와 극복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완치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를
극복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발작이 일어났을 때,
자신을 이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공황은 자신의 성격 때문이 아니라,
뇌 기능의 불균형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이런 증상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공황장애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평소에 즐기고 있던 여가생활이나 취미가 있다면
그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한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찾는다면,
공황에 대한 불안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술이나 담배, 카페인이 든 음료는 피해야 합니다.
니코틴이나 알코올, 카페인 등은
신체 및 호르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평소에 불면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낮에 일정 시간 동안 햇볕을 쬐는 습관을 갖는 것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나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지금 겪는 불안은 실제 나의 목숨을 위협하거나
두려워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또한 발작이 찾아올 때 이것을 숨기지 말고
주변인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공황장애는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혼자 견뎌내거나 참지 말고,
힘든 마음들을 주변과 함께 나눠보는 것은 어떨까요?
웨스트포인트 한인학부모회(공동회장 제임스 조·송민용)가 지난 16일 40명의 신입 생도와 재학생 생도 및 학부모 등 약 600여 명이 참석한…
그레이스 어덜트데이케어 홍하나 대표(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가 20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맨하탄 재선 캠페인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했다. 이…
뉴욕 중견화가 수에나 김(김주연) 작가의 개인전이 오는 26일부터 9월1일까지 뉴저지 저지 저지시티 마나 컨템포러리 전시장에서 열린다.김 작가…
▶문화·정책·교류 어우러진 다채로운 활동으로 통일 공감대 형성▶국제사회에 한반도 평화 필요성 알리는 민간 외교사절단 역할▶글로벌 시대 통일한국…
퀸즈 베이사이드 가라지 아트센터는 커네티컷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피터 D. 게라카리스의 개인전 ‘토포그래피’(Topographies)를 내달 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방위군을 워싱턴 DC의 치안업무에 이어 뉴욕에서의 불법 체류자 단속 지원업무에도 투입할 예정이다.23일 폭스 뉴스 보…
이재명 대통령, 김혜경 여사가 24일 저녁 워싱턴의 콘래드 워싱턴 호텔에서 열린 동포 간담회에 참석해 한인들과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이재…
남가주 대표적 부촌의 하나인 팔로스버디스 지역 롤링힐스의 대저택에서 70대 한인 가장이 자신의 아내와 딸을 총격 살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