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한 생선, 조개나 새우 등 해산물은 일주일에 2회 정도는 먹는 것이 추천된다. 단백질 공급원이자 몸에 좋은 여러 영양소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식중독 위험을 각별히 고려해야 한다. 또 한인들이 선호하는 생굴은 흔한 것은 아니지만 비브리오 패혈증 위험도 있으므 주의한다. 연방 식품의약청(FDA)에서 조언하는 신선한 해산물 고르기 및 생굴과 비브리오 패혈증에 대한 오해를 살펴봤다.
해산물을 고를 때는
신선한 생선을 고를 때는 눈이 맑고 선명하며 볼록 튀어나와 있는지 살핀다. 암모니아 같은 냄새나 비린내도 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생선을 눌렀을 때 탄력있고, 단단한 느낌이 들어야 한다. 아가미 색깔은 선홍색이 신선하다.
머리와 뼈를 제거한 살코기는 껍질이 있는 것을 고려하며, 생선 껍질이 깨끗하고 매끈하며, 고유의 빛을 띠는 것을 찾는다. 칙칙하거나 변색된 것은 오래됐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살코기는 가장자리 부위가 초록색이거나 누렇게 변색되어 있으면 좋지 않다. 또한 살이 흐물흐물한지도 살핀다.
새우나 가리비, 랍스터 등도 색이 선명하며 비린내가 나지 않아야 한다. 홍합, 굴, 조개 등 조개류는 껍질이 닫혀 있는 것을 고르며, 신선한 날 것은 껍질을 살짝 눌러보면 바로 닫힌다. 되도록 신선한 날것을 사서 조리해 먹는 것이 좋다. 요리 후에도 열리지 않은 조개는 버리는 것이 좋다.
냉동으로 살 때는 제품 포장에 하자가 없는 것을 고른다. 얼음 결정이 있으면 녹였다 얼은 흔적이 있는 것이므로 오래 됐거나 다시 얼려 파는 것일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또한 해산물은 신선한 것은 구입 후 바로 2일 안에는 먹는 것이 좋다. 바로 먹을 수 없으면 냉동 보관한다.
조리할 때는 내부 온도가 화씨 145도까지 돼야 골고루 익은 것이다. 실온에는 2시간 이상 두지 말고, 화씨 90도 이상의 날씨에서는 1시간 이상 실온에 보관하지 않는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은 화씨 40~140도 사이에서 쉽게 자란다.
피크닉이나 캠핑할 때는 얼음을 충분히 준비한다.
오염된 물에서 채취된 굴만 피하면 된다
비브리오균은 오염과는 상관없다. 비브리오균은 멕시코만 같은 따뜻한 곳에서 자연적으로 생존할 수 있다.
술로 소독하면 된다?
아니다. 술 역시 해로운 균을 죽이지 못한다.
#생굴에 핫소스를 뿌려 먹으면 균을 죽일 수 있다?
아니다.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생굴은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간 질환이나 당뇨병 등을 갖고 있는 사람은 오염된 굴을 먹었을 때 생명까지도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열을 가해야 해로운 균을 소멸시킬 수 있다.
#조금 먹으면 괜찮다?
아니다 3개 정도 먹고 나서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린 사례가 있었다. 균이 얼마나 많이 섭취되는지, 또 환자의 현 건강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심각한 질환이 발병될 수 있다.
#철자에 ‘R’이 없는 달에만 생굴 먹기를 피하면 된다?
요즘은 일년 내내 굴을 먹을 수 있지만, 9월에서 4월까지가 제철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단어에 ‘R’이 없는 5~8월까지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는 속설이 있다. 굴에 살이 오르지 않고 독소 때문에 추천되지 않는다. 물론 더운 계절에 비브리오 패혈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지만, 연방 질병통제 예방센터(CDC) 에 따르면 전체 비브리오 패혈증 케이스의 40%는 9월~이듬해 4월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에 상관없이 날 것으로 먹기보다는 익혀 먹고, 간질환이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여름철에는 날것으로 먹는 해산물에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스트포인트 한인학부모회(공동회장 제임스 조·송민용)가 지난 16일 40명의 신입 생도와 재학생 생도 및 학부모 등 약 600여 명이 참석한…
그레이스 어덜트데이케어 홍하나 대표(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가 20일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맨하탄 재선 캠페인 사무실 개소식에 참석했다. 이…
뉴욕 중견화가 수에나 김(김주연) 작가의 개인전이 오는 26일부터 9월1일까지 뉴저지 저지 저지시티 마나 컨템포러리 전시장에서 열린다.김 작가…
▶문화·정책·교류 어우러진 다채로운 활동으로 통일 공감대 형성▶국제사회에 한반도 평화 필요성 알리는 민간 외교사절단 역할▶글로벌 시대 통일한국…
퀸즈 베이사이드 가라지 아트센터는 커네티컷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피터 D. 게라카리스의 개인전 ‘토포그래피’(Topographies)를 내달 6…
22일 오후 나이아가라 폭포 관광을 마치고 뉴욕시로 돌아오던 관광버스가 전복돼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사고는 이날 …
이재명 대통령의 동포간담회가 24일(일) 저녁 워싱턴 DC 소재 모 호텔에서 열린다. 하지만 행사 사흘 전인 21일 오후 5시 현재까지도 참석…
샌프란시스코의 상징 시청 건물이 올해 80주년 광복절인 15일 빨강, 파랑의 태극 색깔 조명으로 물들었다.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 한인회는 북가…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