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가 주어질 만한 대상이면 도대체 얼마만큼 이익을 보는가?
부모가 충분한 돈을 기부했거나 유명 인사이거나 파워가 있는 동문이라면 1,600점 만점의 SAT 점수에서 300점을 더 따고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이는 어퍼머티브 액션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이익을 보는 수준이다. 전형적인 엘리트 대학의 학생 3분의1 가량은 이런 특혜가 없으면 아마 그 자리에 있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동문자녀에게 특혜를 주는 등의 이런 혜택이 뭐가 그리 나쁘단 말인가?
대학입학은 제로섬게임이란 것을 기억해 주기 바란다. 한 사람이 들어오면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던 다른 사람은 문밖에 서 있어야 한다. 특혜 받은 자녀들이 바글댄다면 강의실은 지적 토론의 질이 떨어질 것이며 대학의 다양성 또한 피해를 볼 것이다. 비영리단체인 이런 대학들이 최고이자 가장 총명한 학생의 집단이어야지 미국의 귀족사회를 영속시키는데 일조하는 대표적인 기관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톱 스쿨들은 “손을 바깥으로 향해 뻗고 있다”며 다양화를 꽤 강조하고 있다. 위에 지적한 그런 문제들이 시정되고 있는 상황 아닌가?
마케팅을 강화한 결과 지원자가 대폭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부유층 자녀들에게 자리를 내주기 위해 대부분 불합격되고 있다.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재정보조를 확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특혜층 자녀나 레거시를 감소시킨다는 발표는 그 어디도 없으며 엘리트 스포츠인 스콰시, 세일링, 폴로, 크루 같은 스포츠 특기자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적도 없다. 피해자는 중산층 자녀들이다. 총명하고 근면하고 성취도 높지만 그것만으로 안되니 문제가 아닌가.누가 아이비그 대학의 뒷문을 이용하는가?
그 숫자는 많지만 상원 원내총무 빌 프리스트의 장남 해리슨 프리스트의 예를 들어보자. 그의 아버지는 프린스턴 동문이며 막강한 파워를 지닌 정치인이다. 게다가 그의 가족은 프린스턴에 프리스트 캠퍼스 센터를 위해 2,500만달러를 기부했다. 해리슨은 세인트 알반즈의 프렙스쿨에서 탑 20%인 쿰 로드 소사이어티에도 들지 못했다. 조사한 바에 따르면 그런데도 해리슨은 프린스턴 대학의 입학과정에서 꽤 높은 합격수위를 차지하고 있었다(프린스턴의 대변인은 프리스트는 그만의 장점으로 합격됐다고 말하고 있다).프린스턴에서 그는 어떻게 생활했나?
소란스러운 것으로 악명 높은 먹는 클럽에 들어갔다. 결국 음주운전으로 체포됐다. 이번에 졸업은 했지만 학업적인 성취는 별로 없었다. 이번에는 그의 가장 어린 동생이 이번 가을 프린스턴에 입학했다. 그 역시 세인트 알반에서 쿰 로드 소사이어티에 끼이지 못했던 학생이다(프리스트 가족은 이에 대해 코멘트를 거부했다).빌 프리스트는 아직도 어퍼머티브 액션을 반대하고 있지 않은가?
저소득층이나 종족이 다른 사람들을 위한 특혜는 거부하면서 그의 가족들을 위한 한 가지 특혜의 이득을 즐기고 있다고 해석된다.당신도 하버드 대학에 들어갔다. 당신도 레거시(legacy)인가?
그렇지 않다. 아버님은 뉴욕의 시티칼리지에 다녔으며 어머니는 스키드모어에 다니셨다. 내 부모는 두 분 다 이민자였으며 간판보다는 실력 위주의 사람들이었다고 믿는다.고교생 아들이 있는 걸로 안다. 레거시로 하버드 입학에 도움이 될 것 아닌가?
그렇지 않다. 하버드에는 지원서조차 내지 않을 것이다. 내가 쓴 책을 읽어보면 내가 대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난 아들을 캐나다 대학으로 보낼 생각을 하고 있다.
<정석창 객원기자>
본보 여주영 고문이 언론인으로서의 40여년간 삶을 기록한 칼럼집 ‘다시, 뉴욕을 걷다’를 펴냈다(프라미스 출판). 책은 1988년 뉴욕한국일…
베스페이지여성골프회(BWGA·회장 최선아)는 지난 15일 롱아일랜드 베스페이지 주립공원에서 야유회를 열었다. 이날 50여 명의 회원들이 참석,…
맨하탄 어퍼이스트사이드 소재 케이트 오 갤러리는 ‘지지 않는 태양’을 주제로 한 8인 작가전을 이달 23일까지 열고 있다.이 전시에는 케이…
비영리 한인 미술인 지원단체 알재단(AHL Foundation, 대표 이숙녀)은 오는 26일부터 내달 23일까지 맨하탄 알재단 갤러리에서 고 …
뉴욕한인회 이명석 회장과 한인권익신장위원회 박윤용 회장은 15일 퀸즈 플러싱 소재 아이홉(IHOP) 레스토랑에서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뉴욕 연방…
대부분 범죄 전과 없어뉴욕시 일원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 구치소에 무려 500명에 가까운 이민자들이 수감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방이민…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생 100명이 최근 워싱턴을 방문했다. 이들은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I-Corps(혁신단, Innov…
연방 이민 당국이 최근 캘리포니아 홈디포 등지에서 대규모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여 한인을 비롯한 이민사회가 충격에 빠졌다. 이번 단속에서는 중범…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