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막판 단행한 차남 사면의 후폭풍이 거세다. 4년 전 재선 실패 뒤 형사 법정을 들락대며 복수를 별러 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에게 법무부 길들이기 정당화의 구실이 주어졌다며 친정인 민주당마저 반발하고 있다.
커린 잔피에어 백악관 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법무부를 믿는다. 더불어 (사면한) 아들(헌터 바이든)이 (대통령인 자신 때문에) 정치적으로 표적이 됐다고도 믿는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사법 제도가 당파성에 오염됐음을 인정하며 트럼프 당선자가 추진 중인 보복성 사법 체계 재편에 빌미를 제공한 셈이다.
공화당은 기회를 반기는 분위기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공언해 온 사면 포기 약속을 어겼다고 지적하며 “바이든의 남용 탓에 우리 사법 제도에 대한 신뢰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됐다.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전날 SNS 트루스소셜 글로 곧장 반응했다. ‘J-6’ 인질들(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해 이듬해 1월 6일 의회 폭동에 가담했다가 현재 수감돼 있는 트럼프 지지자들)도 사면돼야 한다며 그들에게 제기된 소송을 “사법의 남용과 실패”로 규정했다.
민주당은 당혹스러운 기색이다. 일단 트럼프 당선자가 내년 초 취임 뒤 1·6 폭동 피고인들에게 사면하려 할 경우 반대할 명분이 약해졌다. 피장파장이 됐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사법 제도의 신뢰 훼손이다. 선거전 내내 트럼프 당선자가 반복한 ‘사법의 정권 무기화’ 가능성 주장에 바이든 대통령이 동조한 꼴이어서 ‘정치화한 법무부를 손볼 필요가 있다’는 트럼프를 막기도 궁색한 입장이 됐다.
불평은 주로 당내 온건파 쪽에서 나왔다. 그레그 스탠튼 연방 하원의원은 X에 “헌터는 중범죄를 저질렀고 배심원단으로부터 유죄 평결을 받았다”고 썼다. 정치적 기소가 아니었다는 뜻이다. 마이클 베넷 연방 상원의원도 X를 통해 “사법 제도가 모든 이에게 공정하고 평등하다는 미국인의 믿음을 (사면이) 더 침식했다”고 짚었다. 민주당 상원 선거운동을 이끌었던 게리 피터스 의원은 성명에서 “대통령 가족과 측근이 특별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 그것은 권력의 부적절한 사용”이라며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잠식하고 다른 이들이 정의를 자기 이익에 맞춰 구부려도 되는 줄 알게 만든다”고 꼬집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뭐가 피장파장. 한국일보는 아직도 꿈을 꾸나? 바이든은 외국서 너무 뇌물을 많이 아들을 통해 받았다. 그의 랩탑에 모든 게 다 나와있다. 이걸 무죄로 하려다 들통이 나 다시 법적으로 궁지에 몰리니 그간의 언행과 달리 사면을 결정. 그 랩탑이 가짜라고 쉴드 친 51명의 FBI 와 CIA직원들. 그리고 사기언론들. 전부가 공범. 트럼프 아들 방에 들어가 샅샅이 뒤진 FBI.정작 중범죄자 헌터 바이든 방에는 근처에도 안갔으니 이게 미국인가? 곧 다들 곡소리가 날 것. 그러니 트럼프를 죽이고 싶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