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지구촌이 유례없는 폭염으로 허덕이는 가운데, 앞으로 이런 폭염이 일상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잡지에 따르면 지난 2003년 유럽에서는 살인적 폭염으로 7만 명 이상이 숨졌다. 당시에는 이러한 폭염에 대해 '천 년에 한 번 있는'(once-a-millennium) 정도의 폭염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네덜란드 기상청의 헤이르트 얀 반 올렌보르그는 북유럽 외곽의 올여름은 기온 면에서만 보면 (당시의 폭염과 비교해) 특별할 것이 없어 보인다고 지적한다.
또 네덜란드의 경우에는 모든 것을 태워버릴 듯이 더운 폭염이 앞으로 2년마다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지난 2012년 영국 기상청 연구팀이 2003년 유럽을 휩쓴 것과 같은 폭염이 천 년마다 아니라 127년 마다 올 것으로 추정한 것과 비교해 봐도, 이제 이 같은 폭염은 백년 또는 천년 단위로 오는 '비일상적'인 것이 아닌 일상적인 현상이 됐다는 분석이다.
데스밸리 52.7도…지구촌, 연일 최고기온 경신(CG)
이처럼 최근 수년 사이에 빈발하는 극단적 기상의 유력한 원인은 기후변화가 첫 손에 꼽힌다.
과학자들은 현재 폭염의 원인도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악영향일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학자들은 탄소 배출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기온 증가분을 제어하지 못할 경우 폭염은 더욱 넓은 지역에서, 더 자주 나타날 것이며 강도는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외에도 제트기류의 양상 변화도 거론된다.
지상으로부터 10㎞ 상공에 있는 제트기류는 통상 북극 둘레를 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불면서 종종 강한 바람을 만들어낸다.
그런데 지금은 제트기류가 극단적으로 약해진 상황이다. 추운 극지방이 따뜻한낮은 위도 지역에 비해 더 빨리 데워지면서, 제트기류의 속도도 동시에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이는 제트기류의 약화로 고기압이 한 곳에서 장기간 머물면서 바람이 없고 맑은 날씨로 인해 지표가 달궈지고 있다고 잡지는 지적했다.
이 밖에도 수십 년을 주기로 대서양 표면이 따듯해졌다가 차가워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대서양 진동'(AMO)도 한 원인으로 언급된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의 매슈 로젠크런스는 AP통신에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금과 같은 폭염이 과거보다 자주 나타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은행은 기온 증가와 우기 변화는 오는 2050년까지 인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8% 감소하게 하고, 몹시 덥고 건조한 지역에 거주하는 인도인 6억명의 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폭염에 따른 전 세계 생산비용 손실도 2030년까지 3조 달러(한화 약 3천35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합뉴스>
컴아트 에듀케이션이 15~18일 리버사이드 갤러리에서 광복절 기념 전시회를 열었다. 학원은 광복절 80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번 전시회에 에이든…
스태튼 아일랜드 성인 데이케어 센터는 16일 80주년 광복절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회원들은 양손에 태극기를 들고 홀로 아리랑 노…
빅애플(대표 여주영)은 지난 14일 퀸즈 플러싱 탕 식당에서 말복을 기해 80세 이상 회원들을 위해 삼계탕을 대접하고 건강을 기원했다. 이 자…
뉴욕시 교통국(DOT)과 KCMB-TV, 코리아 아트 포럼(KAF)이 공동주최한 오픈 스트릿, 오픈 DJ 프로그램이 지난 17일 퀸즈 플러싱 …
릴리 로직 뉴욕주하원의원은 개학시즌을 맞아 최근 퀸즈 플러싱에 있는 자신의 지역구 사무실에서 지역 거주 학생들에게 백팩과 학용품을 무료로 나눠…
한국일보가 뉴욕한인봉사센터(KCS)와 공동 주최한 ‘2025 하계 청소년 인턴십 프로그램’(YASP) 수료식이 15일 퀸즈 베이사이드에 위치한…
북버지니아 지역에서 저소득층 가정을 돕기 위한 ‘주택 바우처 프로그램(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일명 섹션 8)…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팀에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을 위해 유럽과 협조하라고 지시했다고 백악관이 19일 밝혔다.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지구가 정말 절절 끓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