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학부 전공자의 21.7% 차지 기업들‘피상적 지식’만족도 떨어져
미국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을 채용하는 기업들의 만족도는 줄어들면서 경영대학들이 생존경쟁에 돌입했다.
최근 월스트릿 저널(WSJ)에 따르면 미 대학생들이 경영학을 선호하는 것은 취업시장에서 경영학의 인기가 가장 높기 때문이다. 전미 교육연구센터(NCES)에 따르면 지난 2008~2009년 경영학 학사학위를 받은 학생 수는 34만7,985명에 달해 전체의 21.7%를 차지했다. 대학생 5명 중 1명은 경영학을 전공했다는 얘기다.
문제는 경영학 학사학위가 발에 채일 정도로 흔해졌지만 막상 기업들의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경영대 학생들이 ‘볼트에 너트를 끼우는 수준’의 단순지식만 습득할 뿐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게 각 기업 인사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경영학 대신 인문학·수학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세계 최대 소셜네트웍 서비스(SNS) 업체인 페이스북의 크리스틴 믹스 채용 매니저는 “우리가 원하는 능력은 사물을 분석하는 힘”이라며 “대학 전공은 인재를 뽑는 기준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오는 5월 상장을 앞둔 페이스북은 미 대학 졸업예정자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직장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이밖에 경영 컨설팅 업체인 부즈앤코는 올해 신입 직원 중 3분의 2가량을 수학·간호학·경제학 등 비경영학 전공자로 채울 계획이며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최근 몇 년 동안 미국 신입 직원의 절반 정도를 경제와 아무런 연관이 없는 학생들로 뽑고 있다.
대학들도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05년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가 뽑은 세계 최고 비즈니스 스쿨(경영전문 대학원)인 스페인의 에사드는 2013년 가을 학기에 인문·교양학을 강화한 새 커리큘럼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밖에 미국 내 조지 워싱턴대와 조지타운대, 샌타클라라대 등 20여개 대학들이 경영학 커리큘럼 수술에 돌입했다고 WSJ는 전했다.
이 대학들은 경영대 학생들에게 풍부한 사고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교양과목의 비중을 늘릴 계획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